한국은행 경기본부는 지난 한 해 ‘지방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(이하 C2자금)’ 등을 통해 총 2만9천여개 중소기업에게 3조3천억원 이상의 저리자금을 지원했다.
이는 한은 전체한도의 17.6%포인트(p) 비중으로, 지역본부 중에선 최다 한도를 운용한 규모다.
3일 한은 경기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은 C2자금을 ▲전략지원한도 ▲특별지원한도 ▲일반지원한도로 구분해 경기지역(김포시, 부천시 제외)의 중소기업을 지원했다. 또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경기지역 소재 서비스업 전체와 일부 제조업 등을 돕는 데에도 소매를 함께 걷었다.
우선 지난해 12월 말 기준 C2자금의 총 지원 한도는 1조13억원으로 당행 전체 C2자금 한도(5.9조원)의 17%를 차지했다. 이어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 규모 역시 2조3천700억원에 달하며 전체 한도(13조원)의 18.2% 비중이었다. 즉 총 3조3천713억원의 저리 자금이 지원된 셈인데, 이는 지역본부 중 가장 많은 한도를 운용한 것일 볼 수 있다.
구체적으로 한국은행 경기본부는 2만8천912개의 지역 중소업체(개인사업자 포함)에 지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. 1개 업체당 평균적으로 1.17억원을 지원받은 식으로,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다.
특히 C2자금의 경우 ‘제조업’이 6천38억원(60.3%), ‘비제조업’이 3천975억원(39.7%)으로 대부분 제조업계에 보태졌다. 반면 코로나19 지원자금은 제조업 3천763억원(15.9%), 비제조업 1조9천935억원(84.1%)이 각각 지원된 상태였다.
지난 한 해 제공된 C2자금 및 코로나19 지원자금의 연계대출 가정평균 금리는 3.80%로, 예금은행 중소기업 대출금리(4.56%)에 비해 0.79%포인트 낮은 편으로 집계됐다.
이에 수혜업체 10곳 중 8곳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. 실제로 한은이 조사를 해 본 결과, 이 같은 지원 자금이 자금 조달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비중이 83.5%에 달했다. 긍정적으로 답한 업체들이 꼽은 주된 이유도 ‘금리 감면 때문’(40.9%)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.
한국은행 경기본부 관계자는 “2023년도 마찬가지로 지역 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성장잠재력 있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, 취약 자주를 지원하는 등 금융중개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고 운용할 것”이라며 “또한 경기도와 경기지방중소벤처기업청, 경기신용보증재단 등 주요 유관기관과 교류 협력하며 정책 공조를 키워나가겠다”고 말했다.
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