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이 고물가·고환율을 잡기 위해 지난 7월 이후 석 달 만에 다시 ‘빅 스텝’(기준금리 0.50%p 인상)을 밟았다.
한은 금융통화위원회(이하 금통위)는 12일 오전 9시부터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.50%인 기준금리를 3.00%로 0.50%p 상향 조정했다. 3%대 기준금리는 지난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고, 4·5·7·8월에 이어 다섯 차례 연속 인상도 한은 역사상 최초다.
앞서 지난 2020년 3월16일 금통위는 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.50%p 낮추는 이른바 ‘빅컷’(1.25→0.75%)에 나섰고, 같은 해 5월28일 추가 인하(0.75→0.50%)를 통해 2개월 만에 0.75%p나 빠르게 내린 바 있다.
이후 한은은 아홉 번의 동결을 거쳤고, 지난해 8월26일 15개월 만에 0.25%p 올리며 일명 ‘통화정책 정상화’의 시작을 알렸다. 또 같은 해 11월, 올해 1·4·5·7·8월과 이날까지 약 1년2개월 사이 0.25%p씩 여섯 차례, 0.50%p 두 차례 높아져 총 2.50%p 상승한 것이다.
금통위가 “당분간 0.25%p씩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”는 사전예고 지침까지 깨고 이날 역대 두 번째 빅 스텝에 나선 것은 아직 물가 오름세가 뚜렷하게 꺾이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. 실제로 9월 소비자물가지수(108.93)는 작년 같은 달보다 5.6% 올랐고, 상승률은 8월(5.7%)에 이어 두 달 연속 낮아졌지만 5%대 중반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.
이와 함께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격차 확대와 이에 따른 환율·물가의 추가 상승 위험도 ‘빅 스텝’의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. 빅 스텝 직전까지 한국(2.50%)과 미국(3.00∼3.25%)의 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0.75%p였다. 만약 이날 금통위가 ‘베이비 스텝’(0.25%p 인상)만 단행했다면, 11월 초 연준(FED)이 예상대로 네 번째 ‘자이언트 스텝’(0.75%p 인상)에 나설 경우 두 나라의 금리 차이가 1.25%p까지 커질 수 있었다. 하지만 이날 금통위가 빅 스텝을 단행하며,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0.00∼0.25%p로 좁혀졌다.
김정규기자
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